이번 시간에는 인증과 인가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아마 http를 공부하시다 보면 한 번 쯤은 들어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401과 403, 그리고 404가 이것과 연관이 있습니다만, 이 글에서 상태코드를 중요하게 다루지는 않을 겁니다. 티스토리 포럼에 가 보시면, 댓글을 입력하는 란이 있음을 알 수 있어요. 최대 500자까지 입력이 가능해 보이는군요. 입력하려는 순간 로그인을 하라고 뜹니다. 이는 제가 로그인을 하지 않아서, 서버는 내가 누구인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처음 보는 사람이 누구인지 모르는 것처럼요. 로그인을 해 보겠습니다. 로그인을 하고 나서 보니, 코딩강아지라는 것이 확인 되었습니다. 신원이 확인이 된 셈입니다. ip 주소를 알면 되지 않을까요? pc방이라는 반례가 있습니다. 그 후에는, 이렇..
인가 검색 결과
해당 글 2건
인증 인가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네트워크
2021. 4. 16. 02:30
grant 명령어로 mysql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권한을 줘 봅시다.
이번 실습도 이어서 해 보겠습니다. 유저를 추가하고, 해당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권한을 새로 생성한 유저에게 주기만 하면 됩니다. 먼저, 모든 location에서 접속이 가능한 test 계정을 생성해 보겠습니다. mysql에서는 caching_sha2_password로 인증을 하게 하겠습니다. 추가를 하고 난 후에, mysql.user에서 User 필드만 보면, test가 추가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mysql.user에서 User가 'test'인 것만 뽑아보겠습니다. 그러면 죄다 'N'이 찍힌 것을 알 수 있습니다. test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것도 못 하겠네요. 특정 유저에게 읽을 권한, 쓸 권한 등을 주는 것은 꽤 위험 부담이 따릅니다. 누군가 내가 만든 데이터베이스를 날려버릴 수도 있다..
코딩/Sql
2020. 8. 20. 01:16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