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 테스트에서 7 세그먼트는 꽤 자주 등장하는 주제 중 하나입니다. 백준 22251번 빌런 호석 문제도 이런 문제인데요. 처음에 볼 때 이 문제에서 말려서, 안타깝게도 매우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호석배 1회보다는 나았지만요. 그 코테는 애초에, 앞에 3개 푸는 데 2시간 걸렸다는 게 함정. 구현을 빡세게 내기 위해서, 자주 보이는 패턴이긴 합니다. 당황할 법한 문제입니다만, 예전에 제가 쓴 글이 하나 있었습니다. [관련글] 코딩테스트에서 답을 미리 하드코딩 해 두는 방법도 쓸만할까요? 이 글에서는 주사위 윷놀이 문제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7 세그먼트를 응용한 이 문제 역시, 하드 코딩을 잘 해두면 매우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이 문제에서는 해..
하드코딩 검색 결과
해당 글 2건
하드 코딩을 이용해서 7 세그먼트 구현 응용 문제를 풀어봅시다.
구현
2021. 9. 15. 21:16
코테에서 답을 미리 저장하는 방법도 쓸만한가요? 네
메일로 질문이 왔습니다. 코딩 테스트를 준비할 때, 하드 코딩을 하는 것은 별로 안 좋나요? 사실, 그에 대한 답은 제가 쉽게 답할 수 없었습니다. 하드 코딩을 하거나, 답을 미리 저장을 해 놓는 방법으로, 백준 내에 있는 문제를 푼 것이 10개에서 15개 내외밖에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중요도가 떨어져 보일 수 있어요. 이 기법을 쓰는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정말 안 풀릴 때 최후의 수단으로 써 보라고. 제가 이 기법을 쓰지 않았다면, 10개에서 15개 정도 되는 문제를 풀지 못했을 겁니다. 오늘은 '답을 미리 저장해 놓는 기법' 을 구현 문제에 어떻게 쓰일 수 있는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백준 17825번 문제인 주사위 윷놀이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제가 상당히 길기 때문에, 제가 링크를 걸어 놓겠습니..
자료알고/알고리즘
2020. 1. 29. 19:33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