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에서 mybatis를 편하게 쓰기 위해, mybatis generator를 쓰곤 합니다. 이클립스에서는 쉽게 할 수 있는데요. 인텔리제이는 그렇지 않더라고요. 공식 문서를 안 읽은 댓가를 호되게 치뤘는데요. 간단하게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테이블 정보를 읽어와서 어떻게 mapper, interface, model 등으로 바꾸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postgreSQL을 쓸 것이니, postgreSQL Driver를 추가하였습니다. 그리고 MyBatis Framework도 추가하였습니다. 그리고 스프링 Web 디펜던시도 추가하였습니다. 이 문서를 보면, maven에서 어떻게 설정하는지 나와 있는데요. 플러그인을 추가하는 형태인가 봅니다. 요래 추가하면, plugin에 mybatis..
Generator 검색 결과
해당 글 2건
intellij에서 mybatis generator 플러그인을 사용해 봅시다.
웹/스프링부트
2021. 7. 25. 02:41
파이썬 generator는 어떻게 실행 위치를 기억하고 있을까요?
함수 안에서 yield를 본 적이 있을 겁니다. 함수 안에서 이것을 쓰게 되면, 제너레이터가 됩니다. 이 문서에서는 어떻게 제너레이터를 쓰고 왜 쓰는지에 대해서 언급하지는 않습니다. 함수 안에서 yield를 썼을 때, 실행 문맥에 어떤 것을 저장하고 있길래, yield가 나타나면, 실행을 양보하고, 다시 foo를 호출하면, 그 다음 위치부터 실행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 간단하게 고찰해 보겠습니다. main에서 foo를 호출했을 때를 생각해 봅시다. 이 때 foo(a)의 위치를 2, 그 다음 줄에 위치해 있는 a = a + 1을 위치 3이라고 해 보겠습니다. foo(a)를 호출하고, 리턴이 되면, 위치 3에 있는 a = a + 1이 수행됩니다. 그림으로 그려 보면 위와 같습니다. 이는, 함수를 호출할 때 ..
코딩/파이선
2021. 5. 29. 21:47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