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서버에 key 파일을 가지고 로그인 하게끔 설정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setting 파일도 하나 다룰 겸 말입니다. 먼저, 제 로컬에는 ssh 클라이언트와, git for windows, cygwin이 있습니다. ssh-keygen -t rsa는 rsa 알고리즘으로 public key와 private key를 생성합니다. 저는 C:\Users\cho의 .ssh 폴더에 생성했는데요. 이들을 모두 cygwin의 home 폴더에 그대로 복사했습니다. 다음에 권한 설정을 하나씩 해 주어야 하는데요. private, public 키가 한 쌍을 이루고 있어요. 이들은 각각 id_rsa와 id_rsa.pub인데요. 이 중에서 id_rsa는 나 말고 다른 사람이 보면 안 됩니다. 나 외에 다른 사람들..
RSA 검색 결과
해당 글 2건
ssh key 파일로 로그인을 하게 해 봅시다.
OS/리눅스
2020. 7. 14. 01:08
많이 언급되는 rsa 알고리즘을 알아봅시다.
RSA 알고리즘은 어디선가 많이 들어보셨으리라 생각이 듭니다. 어떠한 메세지가 있습니다. 메세지 M을 a1이라는 key로 암호화 했습니다. 암호화 된 메세지를 E(M)이라고 하겠습니다. 이를 a1과 다른 값을 가지는 a2로 복호화를 합니다. 예를 들어, 3으로 암호화를 시키고 5라는 키로 복호화를 시키는 식입니다. 비대칭키 알고리즘인 셈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과정만 보일 겁니다. 그러니 오일러 파이나, CRT와 같은 용어는, 천천히 알아가시는 것도 좋을 듯 싶습니다. 다만, 제가 중간 중간 보라색으로 칠한 부분은 심도 있게 생각해 보셔도 좋을 듯 싶습니다. 먼저, 두 소수의 곱으로 이루어진 합성수를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3과 5를 곱해서 나오는, 15라던지, 37과 41의 곱으로 이루어..
네트워크
2020. 4. 25. 21:18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