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ignore가 동작 안 할 때 쓴다는 git rm cached 명령어를 알아봅시다.
git rm에서 --cached 옵션을 붙이는 경우가 왕왕 있습니다. .gitignore에서 뭔가 추가할 때 많이들 쓴다고 하던데요. 무엇을 하는 명령어일까요?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git status를 보겠습니다. .env가 새로 추가되었고, 2.txt가 수정되었다고 합니다. 이 상태에서 .gitignore 파일을 새로 만들겠습니다. 이 파일에 .env를 추가한 다음에 git add .을 해 보겠습니다. 다시 git status를 보니, .env가 그대로 변경 내역에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캐시 상태를 보겠습니다. git ls-files -c를 입력해 보겠습니다. 캐시된 파일들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보니까, .env, .gitignore, 1.txt, 2.txt, README.md가 있음을..
GIT
2023. 2. 7. 22:50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