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리눅스 echo 명령어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봅시다. echo는 보통 텍스트를 출력할 때 많이 써먹습니다. man 페이지에서 확인해 봐도, text를 출력한다. 정도만 설명되어 있어요.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echo gh를 입력해 보면 gh가 출력됩니다. 출력할 문자열이 gh이기 때문입니다. 다음에 echo gh is my best friend를 치면 어떻게 될까요? gh is my best friend가 그대로 나옵니다. 여기까지는 별로 어렵지 않아요. 단지, 문자열을 standard output으로 그대로 출력해 버리기 때문입니다. 환경 변수를 출력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echo $JAVA_HOME은 뭘 의미하나요? 변수 JAVA_HOME을 출력합니다. 자바..
전체 글 검색 결과
코딩 테스트를 개최하고, 다른 분들의 코드를 검토하다 보면, 어느 포인트에서 헤매시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 중에, 가희와 은행은 면접 대비하시면 한 번 정도는 들어보셨을 법한 라운드 로빈 스케줄링을 물어본 문제입니다. 자세한 건 링크 참고하세요. 이 문제에서 크게 어려워 할 만한 포인트는 없어 보였습니다. 저는 출제자였으니, 쉽게 생각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 정도는 os 수업 들으셨다면 과제로도 나올 법한 문제라 익숙했을 거라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를 푸시는 분들 중 몇 분이 빠지셨던 함정이 있었습니다. 그 분들이 어떤 발상으로 접근을 하셨고, 어떤 부분 때문에, 잘못된 답을 도출했는지 복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의도한 풀이를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n명의 사람들은 0초일 때 오고..
안녕하세요. 여행 갔다와서 오랫만에 글을 씁니다. 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의 os에 있는 listdir에 대해 알아봅시다. 먼저, 함수 설명을 봅시다. 이 함수는 디렉토리 안에 있는 파일들의 목록을 리턴해 주는 함수입니다. 예제 프로그램을 봅시다. 먼저, main.py는 프로젝트의 root 폴더에 있습니다. os.path.abspath('./test_data')는 기준 경로 밑에 test_data 폴더의 abspath를 출력합니다. 프로젝트 구조를 볼게요. test_data 밑에 있는 파일은 디렉토리 1, 1.in, 1.txt, 2.txt입니다. 실행 결과만 보도록 하겠습니다. 1, 1.in, 1.txt, 2.txt를 출력하는데요. 기준 경로로 잡혀있는 것이 드라이브 C 밑에 Users 밑에 chokw 밑에..
안녕하세요. 코딩개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tee 명령어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명령 설명을 보겠습니다. standard input으로부터 읽고, 파일과 standard output으로 떨군다. 그림으로 도식화 시키면 아래와 같습니다. 아마 많이들 보셨을 겁니다. 마치 이것이 T처럼 생겨먹었습니다. 그래서 tee라고 부르나 봅니다. 파이프랑 같이 많이 쓰일 수 있습니다.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저는 12345를 1.txt, 2.txt, 3.txt에 저장하려고 합니다. 이럴 때, echo 12345를 한 결과를 tee의 입력으로 받습니다. 그리고 tee 뒤에 1.txt, 2.txt, 3.txt를 넣었는데요. 이는 output을 떨굴 파일이 1.txt, 2.txt, 3.txt라는 의미입니다. 확인..
java 11부터 String에 strip 메소드를 지원합니다. leading, trailing 화이트 문자들을 제거해 줍니다. Character.isWhitespace가 참인 문자들을 제거해 줍니다. 공백이라고 생각되는 문자들을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음에 유의하세요. 밑에서 다시 이야기 해 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기 전에 trim 메서드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관련글] trim 메서드에 대해 제대로 알아봅시다. 먼저, Character.isWhitespace가 참인 codepoint를 모두 출력해 보겠습니다. 9, 10, 11, 12, 13, ... 총 10 + 15 = 25개입니다. 이 중 코드 포인트가 32 이하인 것의 갯수는 10개입니다. 32인 것은 공백입니다. 이제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