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http와 https에 대해서 쓰지 않습니다. 단지, 날라가는 패킷들을 보면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만 실습해 보는 글입니다. 그러니, 자세한 정보를 보러 오셨다면, 여기보다는 공신력 있는 사이트들을 보시는 게 더 좋을 듯 합니다. 인터넷 창을 보시다 보면, 대부분의 사이트에는 자물쇠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연결이 안전합니다. 그런데 어떤 사이트는 그렇지 않은데요. 그 차이가 무엇인지 제가 만들고 있는 토이프로젝트를 가지고 간단하게 실습해 보겠습니다. 먼저, maven으로 패키징 된 제 토이 프로젝트를 실행해 보시면, Tomcat initialized with port(s): 7780 (http)가 뜨는데요. /borrow에 POST 요청을 보내 봅시다. 이것은 bookId가 2이고, ..
네트워크 검색 결과
오늘 따라 덥군요. ifconfig 명령어를 치면, 여러 가지 정보들이 나옵니다. 이 중에서, netmask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fconfig 명령어를 쳐 보겠습니다. 우분투에서는, 이 명령어를 치면, 추가적인 패키지를 깔아야 할 겁니다. inet, netmask, broadcast가 보이는데요. 이 중에서 netmask는 대체 어디에 쓰이는 것일까요? 일단, 255. 255. 255. 0을 3자리씩 끊어서 2진수로 바꿔 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충 이렇게 되겠군요. 다음에 192.168.213.128을 3자리씩 끊어서 2진수로 바꿔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친구는 hostname -I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나온 값이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면 11000000. 10101000. 11010101. 100..
오늘은, ssh랑 telnet에 대해서 간단하게 와이어 샤크를 가지고 실습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들이 패킷을 어떻게 날리는지도 보도록 하고요. telnet이 보안이 취약하다는 소리는 많이 들어봤는데, 정말 그런건지도 한 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VM 안에 있는 ubuntu에 ssh server랑 (sshd), telnet server를 깔았습니다. 그리고 window에 ssh와 telnet 클라이언트가 있습니다. 먼저, hostname -I를 쳐 보겠습니다. 그러면, VM으로 띄운 우분투의 IP가 나올 겁니다. 그리고 방화벽 ufw가 있는데요. 이들의 설정을 건드려가면서, telnet이나, ssh 접속을 할 때 어떠한 패킷이 왔다갔다 하는지 테스트 해 볼 겁니다. 먼저, status를 보겠습니다...
RSA 알고리즘은 어디선가 많이 들어보셨으리라 생각이 듭니다. 어떠한 메세지가 있습니다. 메세지 M을 a1이라는 key로 암호화 했습니다. 암호화 된 메세지를 E(M)이라고 하겠습니다. 이를 a1과 다른 값을 가지는 a2로 복호화를 합니다. 예를 들어, 3으로 암호화를 시키고 5라는 키로 복호화를 시키는 식입니다. 비대칭키 알고리즘인 셈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과정만 보일 겁니다. 그러니 오일러 파이나, CRT와 같은 용어는, 천천히 알아가시는 것도 좋을 듯 싶습니다. 다만, 제가 중간 중간 보라색으로 칠한 부분은 심도 있게 생각해 보셔도 좋을 듯 싶습니다. 먼저, 두 소수의 곱으로 이루어진 합성수를 생각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3과 5를 곱해서 나오는, 15라던지, 37과 41의 곱으로 이루어..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