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chogahui05입니다. 최근에 코딩 테스트를 개최하면서, 다중 정렬을 람다로 구현한 풀이를 보고 배울 점이 많다고 느꼈어요. 람다는 정렬할 때도 쓰고, stream에서도 많이 써 먹긴 합니다. 그런데, 이 글에서는 따로 언급해 드리지는 않겠습니다. 대신에, 람다를 이해할 때 필수적으로 이해했으면 좋을만한 apply 메서드만 언급해 보겠습니다. 제가 computeXXX 시리즈를 설명할 때도 언급이 되었습니다. 그러니, 이 포스팅을 보고 오셔도 좋겠네요. [관련글] computeIfPresent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map 인터페이스에 있는 computeIfAbsent와 computeIfPresent를 예로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이 메서드 들을 이해하면, 어느 정도는 람다가 이런 것이구나..
람다 검색 결과
해당 글 2건
java 람다 개념을 이해할 때 중요할 법한 function apply 메서드를 알아봅시다.
코딩/Java
2021. 8. 25. 23:45
자바 comparator comparing을 이용해서 다중 조건 정렬을 쉽게 해 봅시다.
7월 18일에 제가 운영한 2회 코딩테스트가 열렸습니다. 이 중에, 1번 문제는 다중 정렬을 이용한 문제였습니다. 백준에서 정렬 분류로 치면 나오는 문제들을 풀 수 있다면 풀 수 있게 해서 그런지, 정답자 수가 많은 편에 속하는 문제가 되었습니다. 그 이후에도 사람들이 꾸준히 많이 풀어주셨는데요. 저는 name과 확장자, os에서 확장자를 인식하는지 여부를 3개의 플래그로 만들어서 관리했습니다. 그런데, 다른 분이 Comparator와 람다를 잘 이용하면, 코드도 줄일 수 있고, 단순화 된다는 조언을 주셨습니다. 먼저, myFile 클래스를 보겠습니다. name과 ext만 필드에 있습니다. 생성자는 name과 ext를 받아서, 확장자와 네임을 생성이 될 때 채워넣습니다. 그 이후로 setName, set..
레퍼런스/예제
2021. 7. 20. 18:20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