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니, 로그를 잘 남기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로깅도 몇 편 정도 쓸 듯 싶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logging.level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문서를 보시면, 로그 레벨은 총 6단계임을 알 수 있어요. TRACE, DEBUG, INFO, WARN, ERROR, FATAL. 제가 낸 문제 중에 lv의 최댓값이 6까지 나올 수 있다는 조건은 이것을 바탕으로 해서 만들어 졌습니다. 프로젝트 구조를 보겠습니다. controller, 그리고 application.properties만 건드렸습니다. testController를 보시면, test를 호출하면 Exception을 throw 하게 만들었습니다. /test는 GET 메서드로만 받고요. application.p..
로그 검색 결과
해당 글 2건
spring boot logging.level로 일정 레벨 이상의 로그만 출력해 봅시다.
웹/스프링부트
2021. 7. 5. 18:13
trie에서 공간을 줄이기 위해 포인터를 어떻게 쪼갤까요?
안녕하세요. 백준에서 chogahui05로 활동하고 있는 조경완입니다. 트라이에서 x진법으로 쪼갠다. 무슨 소리일까요? 사실 Trie가 어떤 것을 처리하기 위한 자료구조인지는, 카카오 문제에 출제되어서 익숙하신 분들이 많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한 단계 더 깊이 들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공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잘 쪼개야 할까요? 먼저 소문자로만 이루어진 문자열들을 Trie에 넣었을 때 상황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문자열들의 길이 합은 10만을 넘지 않는다고 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소문자만 나온다고 해 보겠습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정적 Trie를 구축할 수 있을 겁니다. 여기서 26은 다음을 의미합니다. 'a'가 나왔을 때, 'b'가 나왔을 때, ... , 'z'가 나왔을 때 어디로 갈..
자료알고/자료구조
2020. 5. 5. 21:31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