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의 코딩공부
  • 검색

  •   글작성
  •   환경설정
  •   카테고리 이동
  • 분류 전체보기 (713) N
    • 코딩 (245)
      • C (56)
      • Java (49)
      • 파이선 (57)
      • Sql (78)
      • 웹 (5)
    • 디자인패턴 (7)
    • 장고 (12) N
    • spring (27)
      • 셋팅 (5)
      • 시큐리티 (6)
      • 컨트롤러 (1)
      • model (2)
      • db (9)
      • logging (1)
      • 테스트 (3)
    • git (9)
    • 네트워크 (4)
    • 구축 (11)
      • ELK (7)
      • 깃랩 (2)
      • 도커 (2)
    • 자료구조 (40)
    • 구현 (36)
    • 알고리즘 (86)
      • 이론 (35)
      • ps (51)
    • 리눅스 (72)
      • 명령어 (51)
      • 시스템 (18)
      • 유틸리티 (3)
    • 윈도우 (7)
      • 명령어 (2)
      • 유틸리티 (5)
    • OS (29)
    • 레퍼런스 (122)
      • 예제 (68)
      • 분석 (54)
    • 중급 레퍼런스 (6)
      • pandas (2)
      • numpy (4)
  • 홈
  • 태그

펜윅트리 검색 결과

해당 글 1건
펜윅 트리 (fenwick tree) : 구간합을 빠르게 구한다.

펜윅 트리는 구간합을 구할 때 상수를 줄이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유성 문제는 세그먼트 트리 대신에 펜윅을 써야 풀리는 문제로 유명한데요. 시간 복잡도의 특성상 상수를 줄여야 하는데, 레이지를 이용한 세그 트리는 느리기 때문입니다. 이게 어떤 식으로 동작하는지 보고, 간단하게 코드를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펜윅 트리는 다음과 같이 그릴 수 있습니다. 이들은 각각 [1], [3], [5], [7]을 담고 있는 노드입니다. 규칙을 찾아보면, 1, 3, 5, 7은 1의 배수이지만 2의 배수는 아닙니다. 다음에 1, 3, 5, 7과 비교했을 때 구간의 크기가 2배인 2와 6이 있습니다. 이들의 구간 크기는 2이고요. 각각 구간 [1, 2], [5, 6]을 담고 있습니다. 이 둘의 공통점은 2의 ..

자료구조 2021. 3. 14. 00:37
  • 이전
  • 1
  • 다음
반응형

CATEGORY

  • 분류 전체보기 (713) N
    • 코딩 (245)
      • C (56)
      • Java (49)
      • 파이선 (57)
      • Sql (78)
      • 웹 (5)
    • 디자인패턴 (7)
    • 장고 (12) N
    • spring (27)
      • 셋팅 (5)
      • 시큐리티 (6)
      • 컨트롤러 (1)
      • model (2)
      • db (9)
      • logging (1)
      • 테스트 (3)
    • git (9)
    • 네트워크 (4)
    • 구축 (11)
      • ELK (7)
      • 깃랩 (2)
      • 도커 (2)
    • 자료구조 (40)
    • 구현 (36)
    • 알고리즘 (86)
      • 이론 (35)
      • ps (51)
    • 리눅스 (72)
      • 명령어 (51)
      • 시스템 (18)
      • 유틸리티 (3)
    • 윈도우 (7)
      • 명령어 (2)
      • 유틸리티 (5)
    • OS (29)
    • 레퍼런스 (122)
      • 예제 (68)
      • 분석 (54)
    • 중급 레퍼런스 (6)
      • pandas (2)
      • numpy (4)

RECENTLY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 django silk로 n+1 problem을 detect 해⋯
  • shell read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 django startswith, istartswith, endsw⋯
  • 파이썬 re findall 메소드와 finditer⋯
  • postgresql partial index 에 대해 간단⋯

최근댓글

  • 코딩강아지 08.08 감사합니다.
  • 개발자낙원 08.06 글 잘 보고 갑니다~
  • 코딩강아지 07.25 안 되었나요? 문서에 있는 걸로 봐서는⋯
  • 코린이 07.25 MYSQL에서 WITH 절 사용 가능한가요?
  • 코딩강아지 06.05 네~ 감사합니다.

태그

  • 리눅스
  • Java
  • 구현
  • C언어
  • mysql
  • 백준
  • 알고리즘
  • string
  • sql
  • 자료구조
  • 파이썬
  • python
더보기+

VISITOR

오늘 89
어제 654
전체 1,138,395
Powered by Tistory Copyright © 고래의 개인노트 All rights reserved.
CATEGORY
  • 분류 전체보기 (713) N
    • 코딩 (245)
      • C (56)
      • Java (49)
      • 파이선 (57)
      • Sql (78)
      • 웹 (5)
    • 디자인패턴 (7)
    • 장고 (12) N
    • spring (27)
      • 셋팅 (5)
      • 시큐리티 (6)
      • 컨트롤러 (1)
      • model (2)
      • db (9)
      • logging (1)
      • 테스트 (3)
    • git (9)
    • 네트워크 (4)
    • 구축 (11)
      • ELK (7)
      • 깃랩 (2)
      • 도커 (2)
    • 자료구조 (40)
    • 구현 (36)
    • 알고리즘 (86)
      • 이론 (35)
      • ps (51)
    • 리눅스 (72)
      • 명령어 (51)
      • 시스템 (18)
      • 유틸리티 (3)
    • 윈도우 (7)
      • 명령어 (2)
      • 유틸리티 (5)
    • OS (29)
    • 레퍼런스 (122)
      • 예제 (68)
      • 분석 (54)
    • 중급 레퍼런스 (6)
      • pandas (2)
      • numpy (4)
VISITOR 오늘89전체1,138,395
강아지의 코딩공부
블로그 이미지
MENU
  • 홈
  • 태그
  • 글쓰기
  • 환경설정
  • 로그인
  • 로그아웃
  • 취소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