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의 코딩공부
  • 검색

  •   글작성
  •   환경설정
  •   카테고리 이동
  • 분류 전체보기 (698) N
    • 코딩 (238)
      • C (56)
      • Java (49)
      • 파이선 (54)
      • Sql (75)
      • 웹 (4)
    • 디자인패턴 (7)
    • spring (27)
      • 셋팅 (5)
      • 시큐리티 (6)
      • 컨트롤러 (1)
      • model (2)
      • db (9)
      • logging (1)
      • 테스트 (3)
    • git (9)
    • 네트워크 (4)
    • 구축 (11)
      • ELK (7)
      • 깃랩 (2)
      • 도커 (2)
    • 자료구조 (40)
    • 구현 (35)
    • 알고리즘 (86)
      • 이론 (35)
      • ps (51)
    • 리눅스 (70) N
      • 명령어 (50) N
      • 시스템 (17)
      • 유틸리티 (3)
    • 윈도우 (7)
      • 명령어 (2)
      • 유틸리티 (5)
    • OS (29)
    • 레퍼런스 (122)
      • 예제 (68)
      • 분석 (54)
    • 중급 레퍼런스 (13)
      • pandas (2)
      • numpy (4)
      • 장고_플라스크 (7)
  • 홈
  • 태그

MDC 검색 결과

해당 글 1건
spring boot logback MDC는 어떤 식으로 동작하는지 간단하게 분석해 봅시다.

logback의 MDC에 대해서 문서를 보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내부적으로 ThreadLocal을 이용을 한다는 것을 질문 답변 글에서 확인하였고, 그것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해서도 공부를 하게 되었어요. 저는, 최근에 토이 프로젝트에서 요청을 날린 client의 ip를 로그에 추가하도록 바꾸었는데요. 이 과정에서 MDC를 이용하게 되었어요. 제 logback은 1.2.9 버전을 쓰고 있습니다. logback-spring.xml에서 encoder의 pattern을 %X{AAA} - %msg%n 이렇게 설정을 하였습니다. 여기서 제가 궁금했던 것은 %X라는 친구가 어떤 식으로 내부적으로 동작을 해서, MDC에 있는 것을 읽어오느냐는 것이였습니다. 이 %X는 MDC에서 AAA를 key값으로 가지는 value..

spring/logging 2022. 1. 2. 05:00
  • 이전
  • 1
  • 다음
반응형

CATEGORY

  • 분류 전체보기 (698) N
    • 코딩 (238)
      • C (56)
      • Java (49)
      • 파이선 (54)
      • Sql (75)
      • 웹 (4)
    • 디자인패턴 (7)
    • spring (27)
      • 셋팅 (5)
      • 시큐리티 (6)
      • 컨트롤러 (1)
      • model (2)
      • db (9)
      • logging (1)
      • 테스트 (3)
    • git (9)
    • 네트워크 (4)
    • 구축 (11)
      • ELK (7)
      • 깃랩 (2)
      • 도커 (2)
    • 자료구조 (40)
    • 구현 (35)
    • 알고리즘 (86)
      • 이론 (35)
      • ps (51)
    • 리눅스 (70) N
      • 명령어 (50) N
      • 시스템 (17)
      • 유틸리티 (3)
    • 윈도우 (7)
      • 명령어 (2)
      • 유틸리티 (5)
    • OS (29)
    • 레퍼런스 (122)
      • 예제 (68)
      • 분석 (54)
    • 중급 레퍼런스 (13)
      • pandas (2)
      • numpy (4)
      • 장고_플라스크 (7)

RECENTLY

  • 최근 글
  • 최근 댓글

최근 글

  • linux zsh fc 명령어로 command 로그를⋯
  • django mptt와 업뎃이 별로 없는 계층형⋯
  • 파이썬 왈러스 연산자에 대해 간단하게⋯
  • 다대다 관계에서 많이 쓰는 mapping tab⋯
  • 파이썬 폴더 재귀 탐색에 쓰이는 os.wal⋯

최근댓글

  • 코딩강아지 06.05 네~ 감사합니다.
  • H_A_N_S 06.05 오늘도 변함없이 행복한 일요일 보내시⋯
  • 코딩강아지 05.26 감사합니다~
  • coding 05.25 SQL Injection에 대해 잘 보고 갑니다.⋯
  • 코딩강아지 05.09 코드를 봐야 알 듯 합니다. 만약에 동⋯

태그

  • 파이썬
  • 구현
  • Java
  • sql
  • 리눅스
  • C언어
  • 자료구조
  • 알고리즘
  • mysql
  • string
  • 백준
  • python
더보기+

VISITOR

오늘 1,752
어제 1,861
전체 1,072,605
Powered by Tistory Copyright © 고래의 개인노트 All rights reserved.
CATEGORY
  • 분류 전체보기 (698) N
    • 코딩 (238)
      • C (56)
      • Java (49)
      • 파이선 (54)
      • Sql (75)
      • 웹 (4)
    • 디자인패턴 (7)
    • spring (27)
      • 셋팅 (5)
      • 시큐리티 (6)
      • 컨트롤러 (1)
      • model (2)
      • db (9)
      • logging (1)
      • 테스트 (3)
    • git (9)
    • 네트워크 (4)
    • 구축 (11)
      • ELK (7)
      • 깃랩 (2)
      • 도커 (2)
    • 자료구조 (40)
    • 구현 (35)
    • 알고리즘 (86)
      • 이론 (35)
      • ps (51)
    • 리눅스 (70) N
      • 명령어 (50) N
      • 시스템 (17)
      • 유틸리티 (3)
    • 윈도우 (7)
      • 명령어 (2)
      • 유틸리티 (5)
    • OS (29)
    • 레퍼런스 (122)
      • 예제 (68)
      • 분석 (54)
    • 중급 레퍼런스 (13)
      • pandas (2)
      • numpy (4)
      • 장고_플라스크 (7)
VISITOR 오늘1,752전체1,072,605
강아지의 코딩공부
블로그 이미지
MENU
  • 홈
  • 태그
  • 글쓰기
  • 환경설정
  • 로그인
  • 로그아웃
  • 취소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