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시간에 데이터 베이스 데이터 전체를 백업하고 복원하는 것을 해 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dbeaver에서 테이블을 내보내거나 백업을 하고,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집어넣거나 복원하는 작업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시나리오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로그인 한 지 1년이 지난 유저들의 개인 정보를 옮겨야 한다고 해 봅시다. 이 때, 민감한 정보들은 빼고 분리된 데이터 베이스에 옮긴다고 생각해 봅시다. 그런 경우, 휴대폰 번호와 같은 것은 옮겨지면 안 될 겁니다. 암호화를 하던지 해당 필드를 제외하고 보내야 할 것입니다. 이 중 후자의 방법으로 해 봅시다. 사실 이런 건 cron으로 돌려서 application 단에서 하겠지만, 이 글에서는 실습 해 보는 목적으로 진행하겠습니다. 먼저 postgres 데..
dbeaver 검색 결과
간혹 가다가, postgresql에서 sql file에 있는 명령들을 실행시켜야 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custom 함수를 정의할 때라던지, 데이터들을 모두 import 할 때 등이 이에 해당되겠네요. 어떻게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app3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테이블은 reply와 user입니다. user는 id가 4인 유저만 존재합니다. reply를 모두 얻어보겠습니다. 아무것도 없습니다. reply.sql은 Users의 chokw 밑에 있습니다. 이 문장은 그냥 reply 테이블에 id가 4인 유저가 "cd"라는 내용의 포스트와, 'ef"라는 포스트를 썼다는 정보를 추가합니다. psql 명령어는, -d 옵션을 주면 데이터베이스에 바로 접근이 가능합니다. 저는 postgres라는 유저로..
dbeaver에서 foreign key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postgresql에 접속한 것이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테이블 2개가 있습니다. user하고 reply입니다. user는 id와 username을 가지고 있어요. 다음에, reply는 id와 content를 가지고 있어요. 그런데 뭔가 빠진 듯한 느낌이 납니다. 댓글을 작성한 주체가 없단 말입니다. 댓글을 작성하는 주체는 user가 될 텐데요. 이 유저를 참조하는 foreign key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먼저, 새로운 column을 추가해야 됩니다. user에서 id를 참조하기 위해, user_id라는 것을 새로 만들었습니다. Data type은 int4로 두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정보 하나는, 유저의 id 값을 serial4로..
dbeaver에서 postgres나 mysql db를 빠르게 백업하고 복구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중요한 것은 db 서버 버전하고 dbeaver쪽이 인식하는 client 버전하고 맞춰줘야 한다는 점이 있긴 하겠네요. 먼저 db를 우클릭 한 다음에 도구 - 백업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export를 할 오브젝트를 선택하라고 나옵니다. public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했습니다. 그랬더니, auth_group, auth_user 등 테이블들이 있는데요. 이들을 선택하면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들을 쉽고 빠르게 백업할 수 있게 됩니다. 다음을 누르면, Format을 설정하고, 옵션들을 선택하는 것이 나옵니다. 옵션 선택지는 디폴트로 설정하였습니다. 그리고 Format은 Custom으로 설정하였습니다. Custom으로 ..
dbeaver에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erd로 1분만에 떨어트리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이전에 도서관 토이 프로젝트를 했었습니다. 거기서 library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했고, 3개의 테이블을 이용했는데요. erd 다이어그램으로 떨어트려 보겠습니다. 마우스 오른쪽 우클릭 후, Create 탭의 Other를 눌러보겠습니다. DBeaver를 눌러보면, ER 다이어그램이 하나 나오는데요. 이것을 클릭하겠습니다. 저는, library 데이터베이스에서, book, borrow, user 이렇게 3개의 테이블을 생성했는데요. 각각 책, 빌린 사람들, 그리고 유저 목록을 나타냅니다. 저는 이 중, 테이블 3개를 선택 할 겁니다. 제 토이 프로젝트에서 사용했던 것들이기 때문입니다. 이제, 확인을 누르시면, 잠시 후에 e..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