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를 쌓기만 하면 의미가 없을 겁니다. 이것을 적절히 가공해서 어딘가로 보내는 것이 logstash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특정 조건에 따라 처리하는 방법을 다르게 하는 conditional에 대해서 간단하게 언급해 보겠습니다. if절이나, if else 절이 꽤 많이 나올 거 같네요. logstash와 filebeat는 8.1.2 버전을 썼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먼저, filebeat의 설정 파일을 보겠습니다. filebeat.inputs는 어디로부터 입력을 받을지에 대해서 설정하는 것인데요. 뭔가 복잡해 보입니다. /var/log에 있는 log 파일들로부터 input을 얻어옵니다. 또 /home/cho 밑에 있는 log 파일로부터 또 뭔가를 얻어오는데요. 저는 /home/cho 밑에..
if 검색 결과
c, c++에서 제가 꽤 많이 쓰던 것 중 하나는 삼항 연산자였습니다. 파이썬에는 없을까요? 예를 들어, a의 절댓값을 구하는 mabs 메서드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이것은 아래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a가 0보다 작으면, -a를 리턴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if문에 걸리지 않으니 4번째 줄을 수행합니다. a를 돌려주는데요. 7번째 줄에 -1을 인자로 넣어서 mabs를 호출합니다. 실행 결과는 위와 같습니다. -1의 절댓값은 1이니, 의도한 결과대로 잘 나왔음을 볼 수 있어요. 이 링크를 보면, 중간에 이런 구문이 나옵니다. 이것은 C이면, x가 평가되고, 그렇지 않으면 y로 평가됩니다. 즉, C가 참이면, 노란색이 수행되고, 아니면 y가 수행됩니다. 이를 응용하면, mabs를 1줄로 바꿀 수 있습니다...
약 5개월 전에, define 전처리문에 대해서 썼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조건부 컴파일을 할 때 많이 써먹는, #if와 #ifdef에 대한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당연하게도, 백준 사이트에서도 많이 볼 수 있는 코드이기도 합니다. 먼저 위 코드를 보겠습니다. 이상한 va_list라던지 va_start, vprintf, va_end가 나오지만, 여기에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단지, 가변 인자를 처리하기 위해서 저런 것들을 썼다 정도만 보시면 되고요. 여기서 중요한 것은 13번째 줄의 #ifdef입니다. 이것은 무엇을 하는 것일까요? 위에 보니까 DEBUG라는 것이 정의가 되어 있지 않아요. 아무 결과도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반면에, 이 코드는 위에서 DEBUG라는 필드가 정의되어 있었습니다. 이 경우에..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