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ctl은 돌고 있는 서비스를 조회하고 컨트롤 할 때 많이 쓰는 명령어 입니다. 이 글에서는 상태를 볼 수 있는 status만 간단하게 다루어 보겠습니다. man 페이지를 보면, systemctl 명령어는 systemd system과 서비스 manager를 컨트롤 한다고만 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저는 stop, start, status, enable, disable을 많이 써 보았던 듯 합니다. man 페이지를 보면 이들 말고도 다른 것들도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중요하게 다룰 내용이 아닙니다. 저는, elasticsearch가 떠 있는지 보기 위해서, systemctl status elasticsearch를 쳤습니다. 이것은 단지, 일라스틱 서치가 떠 있는지, 상태를 보는 명령어입니다. 위..
status 검색 결과
해당 글 2건
systemctl status 명령어 : 서비스의 상태를 본다.
OS/리눅스
2021. 3. 11. 23:45
git status 명령어 : working tree의 상태를 본다.
git을 하다 보면, working tree의 상태를 자주 보게 됩니다. 이를 위해서 쓸 수 있는 명령어는 git status입니다. 먼저, SpringEx1 프로젝트에서 SpringEx1Application.java를 바꾸었습니다. 몇 개의 줄을 지웠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saveAll을 누르면 SpringEx1Application에 하늘색이 들어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어떤 상태일까요? 수정은 되었지만, 반영은 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해당 프로젝트의 루트 경로에서, git status 명령어를 입력해 봅시다. 그러면, modified라는 내용이 뜹니다. 이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서는, 해당 파일은 변경 내용이 tracking이 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단지, 수정이 된 상태인..
GIT
2021. 2. 16. 07:00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