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으로 n과 m 시리즈를 파이썬으로 풀고 있습니다. itertools를 쓰면 꽤 편하게 풀 수 있는데요. 이 중에서 이번 시간에는 starmap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설명 먼저 봅시다. func이랑 iterable한 무언가를 넣는다고 되어 있어요. 리턴하는 것은 iterator라고 해요. 그런데 어떤 것을 리턴하나요? function evaludated가 된 무언가를 돌려준다 되어 있는데요. 이것만 봐서는 얘가 무엇을 하는 친구인지 잘 와닿지 않아요. 대신에 문서를 보면 Roughly equivalent to 부분이 있어요. 그 밑에 있는 코드를 보면서 이해하는 게 더 빠를 거 같아요. 이런 코드가 있는데요. 일단 iterable 하다는 것은 next로 계속 뽑아올 수 있다는 것을 의미..
레퍼런스/예제 검색 결과
이번 시간에는 Collection에 있는 removeIf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보통 List에서 filtering을 걸어 제거할 때 쓰는 편이에요. 먼저 predicate 인터페이스에요. 단어 사전을 보면, 근거를 두다, 단정하다 정도로 되어 있는데요. 앞에 a가 붙었으니 동사는 아닐 거 같네요. 서술? 이 정도로 해석하면 좋을까요? 술어? 이보다는 명제가 조금 더 적절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러면, 이 인터페이스는 어떠한 명제? 서술부가 참인지 거짓인지 판단하기 위해 쓰일 거 같아요. 그러면, 사실인지 거짓인지 평가하는 메서드도 있을 거 아니에요? 이것이 test에요. 이것은 인자 하나를 받아가지고 Evaluates, 평가를 하게 되는데요. 인풋으로 넘어온 인자가 predicate에 매치되면 ..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map의 merge 메소드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예제 프로그램을 하나 보겠습니다. 이 예제는 매우 간단한 프로그램인데요. 3번째 인자에 이상한 람다 식이 들어가 버립니다? 뭔지는 모르겠지만, 키에 대응되는 value 값에 concat를 시키는 모양입니다. 그러면 결과가 어떻게 나올까요? 키 값이 1인 것의 Value는 "ab", 키 값이 2인 것의 Value는 "cd"가 나오게 됩니다. 메서드 설명을 봅시다. key가 없는 경우라면 v값을 넣어버리고, 그렇지 않으면 remapping function에 의해서 나온 값으로 replace 한다고 되어 있어요. 이 메서드는 결정적으로 multiple value에 대해서 값을 combining 하기 위해 쓴다고 되어 ..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간단하게 json 형식으로 되어 있는 str을 object로 어떻게 떨구는지, 그리고 object를 어떻게 json으로 떨구는지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머릿속에는 대략 이 정도 그림만 그려두시면 수월할 듯 싶습니다. 아차. 그리고 이 두 메서드는 뭔가 옵션이 많은데요.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차근 차근 언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json의 loads는 JSON을 python object로 바꿔줍니다. 간단한 설명을 보면 str, bytes, byte array인데 JSON document가 포함된 무언가인가 봐요. 이것을 python object로 바꿔준다. 정도로만 설명되어 있어요. 예제를 보겠습니다. json text가 위와 같아요. 제가 읽기 편하게 만들어 놓았는데요..
파이썬에서 api를 찔러보고 결과를 가져오게 하기 위해서 requests 모듈을 많이 쓰곤 합니다. 제 토이프로젝트 또한 json으로 리퀘를 받으면 처리를 적절히 해서 json으로 떨구게 됩니다. 제가 구축해 놓은 도서관 서버의 api를 보면서 어떻게 requests 모듈을 써야 할 지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약 조건이 하나 있다면, https는 적용했지만, self signed 인증서입니다. 그리고 모든 api는 json으로 응답하게 됩니다. 먼저, base_url 입니다. 보통 저 url은 겹치니 따로 base_url로 빼는 게 더 가독성이 좋은 듯 싶더라고요. 먼저 1번째 api인 /reg 입니다. POST 요청이고요. userEmail과 userName과 userPw를 보내면 중복된 i..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