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dbc를 사용할 때, connection을 close 해 주지 않으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파일을 열어놓고 close를 안 하면 fd가 낭비되는 것처럼 connection이 계속 쌓이다가, connection이 고갈될 겁니다. jdbc mysql과 연동했을 때, connection을 해제를 해 주지 않았을 때, mysql server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변수값과 status를 보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show variables like '%con%'을 쳐 보겠습니다. 이것은 variable name에 con이 들어가는 것을 모두 찾습니다. 이 중에 max_connections가 보이는데요. 이 값은 문서에 따르면, 허용하는 클라이언트 연결 수의 최댓값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이 문서를 보면..
전체 글 검색 결과
안녕하세요. 오랫만에 뵙겠습니다. 간혹 가다가 백준에서 문제를 풀다 보면, 문자열이 x개 나오면 이 문자열들 사이에 특정 문자를 넣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테스트 케이스 문제라면 개행 문자를 넣는 경우가 있을 겁니다. python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join으로 매우 쉽게 처리할 수 있었어요. 예를 들어, 이런 식으로 쓰면 출력은 어떻게 될까요? 아시다시피 'my name is cho'가 출력이 됩니다. 사용법도 그리 어렵지 않아요. 그냥 Iterable한 객체를 넘겨주면, separator가 element 사이에 끼어들어가 버리게 됩니다. 저 예제에서는 list를 넘겨주었고, Separator로 ' '을 넘겨주었기 때문에, 원소들 사이에 공백이 하나 들어갑니다. 그래서 my name i..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리눅스 sort 명령어를 배워보면서 정렬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해해 보겠습니다. man 페이지에서 언급하고 있는 로케일에 관한 warning은 이 글에서 다루지 않겠습니다. 몇 번 삽질을 해 봐야 아 로케일이 이런 거라는 것이 와 닿지 않을까 싶어요. 혹시나, 보완할 부분이나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히 받겠습니다. 1.in의 1번째 줄 부터 10번째 줄 까지는 이런 내용들이 있어요. 요구 사항이 하나 들어왔는데요. 공백을 기준으로 필드를 나눌 때, 1번째 필드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려고 해요. 단, 필드에는 수가 있으니까, 수가 증가하는 순서대로 정렬이 되어야 합니다. 옵션을 찾아 보니, KEYDEF라는 것이 보여요. F[.C][OPTS][,F[.C][OPTS]]..
정렬 알고리즘을 배우면서, stable 한지 그렇지 않은지는 많이 본 거 같습니다. 그런데 in-place 한지 여부도 분명 다룬 거 같았습니다. 그런데, 저는 이 부분에 대해서 잘 신경을 쓰지는 않았는데요. 쉽게 간과할 정도로 무지했던 셈입니다. 정리할 겸 겸사겸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in place 알고리즘은 추가적인 메모리를 쓰지 않는 알고리즘? 그런데 아주 약간의 메모리를 써도 되는 알고리즘 정도로 문서에서 언급하고 있어요. 제가 보는 교과서에서는 constant한 공간을 쓰면 in-place 알고리즘이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만, 대충 인풋 크기에 비해 정말 작은 메모리를 쓴다. 정도로만 이해하고 넘어가셔도 좋겠네요. 대충 input size가 500만 정도라고 생각해 보면, int나 l..
저번 시간에 tuple을 이용해서 다중 정렬을 손쉽게 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특히 정수는 오름차순 반대인 내림차순으로 비교하기 위해서, 앞에 -만 붙이면 매우 간단하게 비교할 수 있어요. 그런데 문자열은 그게 되지 않습니다. 문제 상황을 보면서 어떻게 구현하면 좋을지 천천히 생각해 보도록 합시다. 개인적으로 아래 두 개의 글을 먼저 보고 오시는 게 좋아 보입니다. [관련글] tuple로 정렬 기준을 떨어트리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안정 정렬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solution 함수를 구현해야 하는데요. list에는 튜플이 들어 있어요. 튜플의 1번째, 2번째 요소는 소문자로만 이루어진 문자열이 들어 있어요. 1차 정렬 기준은, 1번째 요소를 사전순 내림차순으로 돌립니다. 만약에, 1번째 요소가 같은 문자..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