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태까지 진행한 토이 프로젝트를 컨테이너화 시켰습니다. 레포는 링크에 있어요. 저는 이 레포를 가져온 다음에, docker-compose up만 입력해서, 컨테이너로 돌아가게끔 만들었습니다. 이것을 가지고 python request를 이용한 rest api를 호출하고, 결과를 가져오는 연습을 하고 있었어요. 그런데, 연습을 하다가 415가 떨어지는 이상한 상황이 발생했는데요. 400, 401, 403, 404, 405 정도에만 익숙했던 저는 415가 낯설어서 당황하였습니다. 어떤 상황이였는지 보겠습니다. get_access_token인 것으로 보아서, 로그인을 해서 접근을 위한 토큰값을 가져오는 모양이에요. 제 도서관 api는 로그인이 성공하면 access_token을 가져와서 인증 처리를 하게 되어요...
전체 글 검색 결과
제가 개최한 코딩 테스트 후기 글들을 꾸준히 보고 있는데요. 이 글들을 잘 보면, 생각보다 배울 만한 것들이 많았습니다. 제가 낸 문제 중에, 가희와 파일 탐색기가 있었는데요. 이 글에서는 풀이 보다는 정렬 조건이 복잡할 때, 아 이러한 패턴이 있었구나. 정도만 알고 넘어가셔도 괜찮겠다 싶어서 가지고 오게 되었습니다. 사실 이 글에서 언급하는 방법 말고도 우선순위 역순으로 n회 정렬한다던지와 같은 방법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언급할 기회가 있을 듯 싶어요. dsu 패턴은 생각보다 복잡하지 않아요. python에서는 여러 비교 기준이 있는 문제에서 tuple을 이용하게 됩니다. dsu는 3가지 과정으로 나뉩니다. 먼저, 데이터를 가공합니다. 어떻게 가공해야 할까요? list나 tuple은 문서에 ..
이전 글에서, django demo 프로젝트를 컨테이너에 말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환경 변수를 컨테이너 안에 넣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련글] dockerignore 파일이 무엇을 하는 것일까요? 프로젝트 구조는 이전 글과 크게 달라진 것이 없습니다. 루트 폴더에 .dockerignore랑 스크립트 파일, Dockerfile, requirements 파일 등이 있네요. 그리고 test_env라는 것이 있는데요. 변수명=값 형식으로 적습니다. 예를 들어, 위 예제는 CHO가 3이고, GA가 5이고, HUI가 10입니다. 이것을 build 해 보겠습니다. sample이라는 이름으로 build 합니다. 그리고 run을 해 보겠습니다. 그런데 어떤 옵션을 더 넣어야 할까요? docker run --help..
no time long see. 이번 시간에는 c++20부터 적용된 bit 안에 있는 popcount 메소드에 대해 알아봅시다. 사실 코딩 테스트에서 켜진 비트수를 세는 문제, 혹은 이를 응용한 문제가 왕왕 보이는 편이기도 하고요. 그리고 그 이전에는 어떻게 해야 했는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popcount 메소드는, unsigned integer 형에 대해서만 동작합니다. 어떻게 동작하나만 보도록 하겠습니다. 7번째 줄에, popcount(i)가 있는데요. 이는 15에서 켜진 비트 수를 세라는 의미입니다. 몇 개인가요? 4개입니다. 따라서, 4가 출력됩니다. 예제 2번을 보시면, for loop를 돌면서 i의 켜진 비트 수가 몇 개인지를 출력합니다. 6번째 줄에서 for loop를 보면, i가 int형으..
코딩 테스트에서 7 세그먼트는 꽤 자주 등장하는 주제 중 하나입니다. 백준 22251번 빌런 호석 문제도 이런 문제인데요. 처음에 볼 때 이 문제에서 말려서, 안타깝게도 매우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호석배 1회보다는 나았지만요. 그 코테는 애초에, 앞에 3개 푸는 데 2시간 걸렸다는 게 함정. 구현을 빡세게 내기 위해서, 자주 보이는 패턴이긴 합니다. 당황할 법한 문제입니다만, 예전에 제가 쓴 글이 하나 있었습니다. [관련글] 코딩테스트에서 답을 미리 하드코딩 해 두는 방법도 쓸만할까요? 이 글에서는 주사위 윷놀이 문제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7 세그먼트를 응용한 이 문제 역시, 하드 코딩을 잘 해두면 매우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이 문제에서는 해..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