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sed 명령어를 이용해서 :로 구분되어 있는 PATH 변수를 보기 쉽게 출력하는 방법을 익혀 보겠습니다. 그리고 응용 문제도 간단하게 풀어봅시다. 먼저 env는 (환경) 변수들의 목록을 보여줍니다. 대표적으로 PATH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아마 자바를 설치하셨다면, 한 번 정도는 써 보셨지 않을까 싶습니다. echo $JAVA_HOME을 쓰실려나요? env | grep PATH를 입력하면, env의 결과에서 PATH를 부분 문자열로 가지는 행을 가져 오는데요. 뭔가 경로가 여러 개가 있는 거 같습니다. /usr/local/sbin:/usr/local/bin:... 이렇게 있는 걸로 보아서는, :을 구분자로 해서, 경로들이 구분 되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이 변수가 긴 경우에는 읽기가 그리..
전체 글 검색 결과
이 글은 가희와 수인분당선 문제를 어떻게 셋팅했는지에 대한, 그러니까 썰에 관련된 글입니다. 여기에 풀이는 자세히 적지는 않겠습니다. 제 레포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잘 정리된 블로그 글도 있으니, 그걸로 대신하겠습니다. 대신에, 어떻게 준비를 했고, 어떤 것을 평가하려고 했는지 상세하게 적어보겠습니다. 어떤 것을 평가하려고 했는지만 보시려면 5번째 단락부터 보시면 되겠습니다. 제 문제를 검수해 주신 검수진 분들에게 다시 한 번 감사의 말을 올립니다. 사실 철도 문제는 2018년 숭고한이 진행되었을 때 부터 생각해 오던 것이였습니다. 모종의 이유로 출제를 하지는 못했지만요. 그로부터 3년이 지나고, 모란역에서 인천역까지 수인 분당선만을 타고 간다는 컨셉으로 문제를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23시 59..
토이 프로젝트를 올리면서 깃헙에 리드미를 작성하다 보니, 누구나 구축을 편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함을 깨달았습니다. 제가 프로젝트 한 내용들과 필요한 것들을 패키징을 하는 무언가가 필요했는데요. 이것을 위해서, 관련된 도커의 기능들을 공부하고자 합니다. 명령어의 원리나 내부 구조 등은 언젠가 여기에 쓸 날이 올 듯 싶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dockerignore에 대해서 알아보고, 간단하게 실습해 보겠습니다. 제가 관리하는 sample django project의 루트에는 3개의 파일이 있습니다. 먼저, Auto라고 표시된 script를 이용해서, django 프로젝트를 초기화 해 보겠습니다. 이 글에 있는 Auto.ps1에서 7 ~ 8번째 줄을 추가하였습니다. 보시면 test로 이동한 후에,..
django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처음에 프로젝트 경로가 뭔가 이상한 게 걸렸습니다. 깔끔하게 정리하기 위해서, startproject 명령어를 찾다 보니, 이 문서를 찾게 되었습니다. 간단하게 해당 문서를 보면서 이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명령어가 생각보다 꽤 길기 때문에, ps1 파일로 자동화를 시켜 보겠습니다. 반복되는 작업은 귀찮거든요. django_ex 폴더에다가 auto.ps1을 저장하겠습니다. 이 스크립트를 보면, 가상 환경을 생성하고, 활성화를 시킵니다. 다음에 가상환경에서 django를 깔고, test 디렉토리를 만듭니다. 다음에, test로 이동한 다음에, django-admin startproject 명령어를 실행시킨 다음에 가상 환경을 deactivate 합니다. Auto 스..
토이 프로젝트를 github에 올릴 때, readme를 잘 써야 한다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아직 완성이 된 프로젝트는 아니지만, 실습용으로 써 볼만할 정도는 되는 듯 하네요. 그래서, 오늘은 readme에 이미지를 추가하는 방법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제가 관리하고 있는 토이 프로젝트 레포입니다. readme 파일을 보시면 아직 해야 할 것들이 매우 많음을 알 수 있어요. 이 중에 제일 시급한 것은 패키징을 적절히 잘 해서, 깃허브에 올라간 제 프로젝트를 서버에 구축하기 편하게끔 환경을 만드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아래 방식은 너무 복잡하기 때문입니다. jar로 패키징 하는 것은 그렇다 쳐도, postgresql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테이블 3개를 생성하고, 권한을 설정해 주고 이런 ..
최근댓글